임베디드제어

프로젝트 일지/컴퓨터 HUD

[컴퓨터 HUD] 개발 동기

요즘 차량 HUD에 꽂혔다. HUD란 Head Up Display의 약자로 유리창에 차량의 정보를 띄워주는 기기를 의미한다. 차량뿐만 아니라 항공기 등 다양한 곳에서도 많이 사용한다. HUD가 있으면 파일럿이 된 기분이 들게 한다. (테크충이라 유독 더 그런 것 같다) 근데 왜 컴퓨터는 HUD가 없는가.. 사실 있지만 꽤나 가격이 비싸다. 그리고 사실 개인 PC에서는 감성의 영역이기도 하다. 그래서 이걸 하나 만들어볼까 한다. 처음에는 아두이노 기본 키트 중 아래와 같은 LED를 쓸까 했지만, 감성이 살지 않는다. 물론 이것도 도트로 하나하나 다 찍으면 꽤나 귀엽긴 하다. 실제 대학생때 과제로 게임기를 만든다고 비모를 만들어본 적이 있다. 하지만 저 LED말고 꽂힌 게 있어서 이렇게 빌드업을 한 거다. ..

임베디드 일지/아두이노 기초

[아두이노 기초] ADC

1. 기초이론 지금까지 작성된 글을 기반으로 봤을 때 아두이노는 0 아니면 1만을 인식하는 디지털 시스템인걸 알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스템의 문제는 아날로그 시스템을 이해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DIO 강의 때 보면 특정 전압 이상은 1, 특정 전압 이하는 0으로 분류를 해버리니 입력 전압이 몇 볼트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ADC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모듈로 제 생각으로는 마이크로컨트롤러 단가에 큰 영향을 주는 모듈이라 생각됩니다. 쉽게 생각해서 번역기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앞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개념을 잡고 가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디지털 신호란 딱딱 정수로 떨어지는 신호를 말합니다. 소수점이란 없으며, 딱 떨어지는 정수로 표현되는 신호들입니다. 우리가 여태껏 다..

임베디드 일지/아두이노 기초

[아두이노 기초] GPIO Input

1. 기초 이론 오늘 다룰 내용은 아두이노에서 제공하는 DigitalRead() 함수에 대한 것입니다. 아두이노는 특정 전압 이상의 값을 받았을때, 이를 0 또는 1로 읽어올 수 있습니다. 여기서 특정 전압이라 하면, Microcontroller마다 기준이 다를 것입니다. 사람으로 예를 들면 '맵다'라는 기준이 다르듯이 말이에요. 아래 가져온 자료는 ATMEGA2560의 Vcc(Voltage Source)에 따른 Input voltage 기준 전압 자료입니다. 쉽게 말해서 사람(MicroController)도 식사량(Vcc)과 그 날 몸 컨디션(Chip의 온도)에 따라서 '맵다'(입력 전압이 0인지 1인지)의 기준이 달라지는 것입니다. 하지만 애초에 Digital로 값을 읽어오는 경우에는 이러한 모호한 ..

우리집공돌이곰돌을좋아해
'임베디드제어'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