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발 배경
학부시절 임베디드 개발을 하면서 가장 불편했던 것이 디버깅이었다. 실제 값을 눈으로 보는것은 너무 힘들뿐더러 이것을 가시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그래프를 그린다거나 이런것은 상상도 못할일이었다. 물론 '돈'을 투자한다면 디버거를 사면 별다른 작업 없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하지만 과한 지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생각하다가 개발하게 되었다.
유투브 여러 영상을 보던 중 추천 영상에 해외 채널에서 아두이노 모니터라하여 구현해 놓은 것을 본 적이 있다. 사실 눌러보진 않았지만 썸네일만 보았을때, 꽤나 인상 깊었다. 이런식으로 모니터링 하면 좋을텐데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아두이노 스케치의 경우 시리얼 모니터와 시리얼 플로터 라는 것이 있다. 하지만 두개 다 상당히 제한적이다. 특히 시리얼 모니터의 경우 보통 [Data: 값]의 형태로 보내어 확인을 해야하는데, 계속 줄바꿈되어 내려가니 보기가 너무 힘들다. 그렇다고 그래프로 추이를 보자 하면, 시리얼 플로터가 지원하는 양식에 맞춰 보내줘야한다. 그런데 여기서 또 문제는 시리얼 모니터로 'Data: 값' 형태로 보면서 플로터로 그래프 추이를 볼 수는 없는 것이 너무 불편하다. 이 모든 것을 해소할 겸 최근 PyQt를 하며 GUI 프로그래밍에 재미를 붙였으니 한번 만들어보고자 한다.
2. 개발 계획
개발 순서는 GUI를 우선적으로 완성한 뒤 기능을 넣을 예정이다. 사실 GUI를 완성한 뒤 기능 구현을 하다보면 새로운 아이디어가 생각나 또 GUI를 수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긴 하다.
우선은 값을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이랑 그래프로 표현해주는 영역, 그리고 게이지를 넣고 싶다. 차를 매우 좋아하는 입장에서 계기판에 있는 게이지는 매우 매력적이다. 그래서 개인적인 취향으로 게이지를 넣어 바늘이 움직이는 것을 보고 싶다. 또한, 사용자들이 편히 사용할 수 있도록 Sender입장에서 쓸 수 있는 라이브러리도 설계할 계획이다. 함수 몇개만 사용하여 원하는 데이터 값을 보낼 수 있도록 말이다.
사실 큰 계획은 없다. 손 닿는대로 개발하게 되니까

3. 개발 환경
- 임베디드 모니터 Tool: Window 기반
- Test 보드: 아두이노 메가 (아두이노 스케치 기반)
임베디드 외주 제작 문의: https://open.kakao.com/o/sp32L9ke
구름이님의 오픈프로필
임베디드 외주 제작
open.kakao.com
'프로젝트 일지 > 임베디드 모니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베디드 모니터] Arduino Demo Code 구현 (0) | 2023.04.06 |
---|---|
[임베디드 모니터] GUI 개발 (0) | 2022.06.08 |
[임베디드 모니터] Serial 통신 & 데이터 무결성 - 2 (0) | 2022.01.18 |
[임베디드 모니터] Serial 통신 & 데이터 무결성 - 1 (0) | 2021.12.14 |
[임베디드 모니터] UI 고민 (0) | 2021.12.01 |